본문 바로가기
리뷰(콘텐츠)

원페이저가 살아남는다 (3)

by 생각정리 2024. 2. 18.
728x90

원페이지를 쓰는 3단계 : 추출→ 구조화 → 표현

- 구조화 : '논리'(무엇이 무엇보다 먼저 나와 있는가, Seq)와

'맥락'(무엇과 무엇이 연결되어 서로 지지하고, 그 가운데 무엇이 더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가? 친밀도와 강조를 부여) 

- 표현 : '명확함'(오해나 비약의 소지가 없는 것)과 '생생함' (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것)

- 무조건 구조화가 먼저 진행돼야 하고, 흐름을 역행해선 안됨


원페이지의 기본구조 = '분석' (현실, 과거, 현재, 문제, 원인) & '실행' (이상, 현재, 미래, 해결, 실행)


원페이지의 기본스토리 = '논리' (흐름, 이야기) → 'Why-What-How' (구조 바탕, 논리가 그 위로)

- Why : 왜 해야하는가? 왜 어떤 것에 문제가 있는가?→ 모듈 : 목적(취지), 추진배경(문제상황,필요성), 현재상황/분석

- What : 무엇을 달성할 것인가? 무엇을 집중 공략할 것인가? → 개선방향/지향점, 추진전략 

- How : 어떻게 그것을 실행한 것인가? → 실행계획(일정, R&R, 비용), 실행결과(개선효과, 집행비용 등)

 


원 페이지의 최종 뼈대 "목차 설계도" 작성 방법(기능적 연결성이 중요)

  1. 원페이지의 작성 배경과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
  2. 해당 원페이지의 문서유형과 특징 결정
  3. 메시지의 집중 포인트, 메시지의 톤 앤 매너 확립
  4. 해당 보고서 유형과 과제에 적합한 목차 선정, 방점을 둬야 하는 목차 함께 지정
  5. 목차의 스토리를 뒷받침 하는 '서브 목차' 선정 (상위목차와 서브목차 간 논리적 연결성 확인)
  6. 문장 직전의 모습인 '핵심 어근'을 만들어 보기(중요단어 중심으로 작성) 이 때 어떠한 형태로 표현할 것인지 미리 정하고 기록해야 함

 

728x90